🎬 Veo3 프롬프트 작성 지침 Prompt Writing Guide
✅ 1. 5W1H 구조에 따라 영상의 핵심 요소 정의
- Who (누가): 등장인물, 생김새, 옷차림, 감정 상태 등
- What (무엇을): 주요 행동, 사건, 상호작용
- When (언제): 시간대, 계절, 역사적 배경 등
- Where (어디서): 장소, 환경, 분위기
- Why (왜): 사건의 의도나 배경
- How (어떻게): 인물의 행동 방식, 카메라 기법, 스타일 등
✅ 2. 구체적인 장면 묘사
- 인물의 위치, 표정, 동작, 배경의 디테일 등을 시각적으로 묘사
- 예: “A boy in a yellow raincoat walks slowly through a misty forest at dawn”
✅ 3. 스타일 및 분위기 명시
- 예시: cinematic, noir, 80s retro, anime-style, hyper-realistic, dreamlike
- 영상 톤: dark and suspenseful, whimsical and bright 등
쿠팡은 로켓배송 | 쿠팡 - 로켓배송
오늘 주문하면 내일 도착하는 쿠팡의 로켓배송을 만나보세요. 쿠팡 와우회원은 무료배송과 반품도 가능해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4. 카메라 기법 활용
- 예시: drone shot, tracking shot, slow zoom-in, over-the-shoulder shot, time-lapse 등
✅ 5. 오디오 요소 상세화
- 배경 음악: 장르, 분위기, 리듬
- 효과음(SFX): 환경 소리, 움직임 소리, 갑작스런 효과 등
- 대사(Dialogue): 인물의 말투, 감정, 문장 예시
- 앰비언스(Ambience): 주변 분위기 소리 (예: 파도, 바람, 도심 소음)
✅ 6. 언어
- 항상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을 함께 제공
- 문장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유지, 추상적 표현은 피함
예시 프롬프 입니다.
아나운서 멘트영상
영어 프롬프트
Scene Description
Inside a modern news studio, a Korean female anchor sits at the desk, wearing a professional blazer. Her expression is calm but subtly tense. Behind her, a large digital screen shows live aerial footage of a massive alien spaceship hovering above downtown Seoul. The ship casts an enormous shadow over the city skyline. The anchor looks into the camera and says clearly in
Korean:(이 부분은 지우고 출력 요청)
“Il-ju-il jeon-buteo Seoul sang-gong-e natanan mi-hwak-in mul-che-eseo ajik-do ban-eung-i eobs-seum-ni-da.”
English Translation (spoken subtitle or voice-over):
“There has still been no response from the unidentified object that appeared over the skies of Seoul one week ago.”
Visual Style
High-definition newsroom lighting, modern broadcast visuals. The alien ship in the footage is viewed from a slightly shaky drone perspective, giving a live news realism. The anchor remains professional and controlled, adding to the eerie calm.
Camera Technique
Medium shot → slow push-in as she delivers the line → cut to full-screen footage of the hovering alien ship over Seoul → back to the anchor’s silent pause
Audio Elements
- Korean anchor voice (natural, clear tone)
- Ambient tension drone subtly layered
- Light electronic hum of studio background
- Optional: a low rumble in the background of the spaceship video feed
Camera Technique
Long lens frontal shot of the alien charging → quick intercut close-ups of its legs pounding the ground and distorted screaming face → shaky POV from the human → wide tracking shot as the creature narrows in
Audio Elements
- Shrill, guttural alien screech
- Fast, heavy footsteps with grit and echo
- Wind distortion as it rushes past objects
- Heartbeat or rising tension score in background
- Optional: reverb-heavy, slowed ambient screech trailing the main cry
한글 프롬프트
장면 묘사
현대적인 뉴스 스튜디오에서 한국인 여성 아나운서가 단정하게 앉아 뉴스를 전한다. 그녀의 표정은 차분하지만, 미묘한 긴장감이 감돈다. 뒤쪽 대형 스크린에는 서울 도심 상공을 떠다니는 거대한 외계 우주선의 라이브 드론 영상이 송출된다. 우주선은 도심을 뒤덮는 그림자를 드리운다. 아나운서는 카메라를 바라보며 또렷하게 말한다:
“일주일 전부터 서울 상공에 나타난 미확인 물체에서 아직도 반응이 없습니다.”
영어 번역 (자막 또는 보이스오버)
“There has still been no response from the unidentified object that appeared over the skies of Seoul one week ago.”
시각적 스타일
선명한 조명, 정제된 뉴스 그래픽, 리얼한 드론 촬영 느낌의 우주선 영상. 아나운서는 침착함 속에서 긴장감을 품은 태도.
카메라 기법
중간 샷으로 시작 → 그녀가 말할 때 천천히 클로즈업 → 서울 상공 우주선 영상 전체화면 → 다시 아나운서의 침묵으로 전환
오디오 요소
- 아나운서의 또렷한 한국어 보이스
- 배경에 긴장감 있는 저음 드론 사운드
- 뉴스룸의 자연스러운 공기 소리
- 선택 사항: 우주선 영상에서 낮은 진동음 삽입 가능
🎬 Veo3 Prompt (English First)
📌 Scene Description
At dusk in a snowy forest, Bigfoot sits near a gently crackling campfire, warming his hands. He looks up and speaks directly to the camera with a calm expression, his breath visible in the cold air. Snowflakes fall steadily around him.
🎨 Visual Style
Cinematic with a mix of cozy and mystical tones. The orange firelight contrasts beautifully with the icy blue environment. Soft lighting and shallow depth of field give the scene an intimate, storytelling atmosphere.
🎥 Camera Techniques
Medium close-up, slightly off-center framing to include the firelight on one side. Camera slowly pushes in as Bigfoot speaks. Occasional over-the-shoulder cutaways of the fire.
🔊 Audio Elements
- Dialogue
- Line (in Korean): "새롭게 출시된 패스트 모드와, 퀄리티 모드를 비교하고…"
- Voice: Male, composed and engaging, as if narrating a thoughtful fireside discussion.
- Ambient Sound
- Crisp crackling of the campfire.
- Gentle snowfall ambience, light forest sounds like rustling trees or distant birds.
- Music
- Warm acoustic guitar with slow, reflective tempo.
- Soft, subtle winter bells to add a magical undertone.
🎬 Veo3 프롬프트 (한글 버전)
📌 장면 묘사
해질녘 설원 숲. 빅풋이 모닥불 옆에 앉아 손을 녹이고 있다. 잠시 후 고개를 들어 카메라를 바라보며 차분한 표정으로 말한다. 그의 입김이 차가운 공기 속에 하얗게 퍼지고, 눈발이 조용히 내린다.
🎨 시각 스타일
시네마틱하면서도 아늑하고 신비로운 분위기. 따뜻한 불빛이 차가운 푸른 설경과 조화를 이루며, 부드러운 조명과 얕은 심도로 이야기를 전하는 듯한 친밀한 느낌 연출.
🎥 카메라 기법
중간 클로즈업, 약간 비스듬하게 빅풋을 프레이밍하여 한쪽에 모닥불 빛이 들어오도록 구성. 그가 말을 시작할 때 카메라가 천천히 앞으로 다가간다. 중간중간 불을 비추는 오버숄더 컷도 삽입.
🔊 오디오 요소
- 대사
- 대사: "새롭게 출시된 패스트 모드와, 퀄리티 모드를 비교하고…"
- 목소리: 남성, 조용하지만 집중력을 끄는 어조. 캠프파이어 앞에서 진지하게 설명하는 분위기.
- 앰비언스 사운드
- 모닥불이 바삭거리는 소리.
- 부드럽게 내리는 눈, 숲속의 자연스러운 환경음 (바람, 먼새소리 등).
- 배경음악
- 따뜻한 어쿠스틱 기타 연주, 느리고 사색적인 리듬.
- 은은한 겨울풍 차임 사운드로 신비로운 분위기 강조.
🎬 Veo3 Prompt (English First)
📌 Scene Description
In a snowy forest at dusk, Bigfoot sits on a log near a small campfire. Snow gently falls around him as he warms his large hands by the flames. A smartphone is mounted on a tripod in front of him, recording.
🎨 Visual Style
Cinematic with warm and cool color contrast — the orange glow of the fire stands out against the blue-tinted snowy background. Slightly cozy and magical tone.
🎥 Camera Techniques
Medium shot from eye level, facing Bigfoot directly. The campfire flickers in the foreground. Occasional shallow focus shifts between Bigfoot and the fire.
🔊 Audio Elements
- Voiceover / Dialogue
- Line (in Korean): "새롭게 출시된 패스트 모드와, 퀄리티 모드를 비교하고…"
- Voice: Male, calm and thoughtful tone, as if explaining something important by a fireside.
- Ambient Sound
- Gentle crackling of fire.
- Light snowfall and distant forest ambience (e.g., owls, wind in trees).
- Music
- Soft acoustic background music with a relaxed, introspective mood.
- Subtle winter chimes to complement the magical vibe.
🎬 Veo3 프롬프트 (한글 버전)
📌 장면 묘사
해질녘 설원 숲. 빅풋이 통나무에 앉아 작은 모닥불 앞에서 손을 녹이고 있다. 눈이 부드럽게 내리고 있으며, 스마트폰은 삼각대에 고정되어 그를 촬영 중이다.
🎨 시각 스타일
시네마틱하면서도 따뜻한 느낌. 모닥불의 주황빛이 차가운 푸른 설경과 대비되어 아늑하고 마법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 카메라 기법
정면에서 바라보는 눈높이 중간 샷. 전경에 모닥불이 타오르고 있으며, 초점이 빅풋과 불 사이를 부드럽게 전환함.
🔊 오디오 요소
- 대사 (Voiceover)
- 대사: "새롭게 출시된 패스트 모드와, 퀄리티 모드를 비교하고…"
- 목소리: 남성, 차분하고 진지한 어조, 마치 캠프파이어 앞에서 설명하는 분위기.
- 앰비언스 사운드
- 모닥불이 타는 소리.
- 부드러운 눈 내림, 멀리서 들리는 숲 속 분위기 (올빼미, 바람 소리 등).
- 배경음악
- 편안한 어쿠스틱 계열의 배경 음악.
- 은은한 겨울풍 차임 소리로 마법 같은 느낌을 보조.
영어 프롬프트
Scene Description
From the foggy ruins of a shattered street, an alien creature bursts forth with terrifying speed. Its body is hunched and sinewy, claws digging into the asphalt as it charges. Its mouth stretches unnaturally wide, emitting a piercing shriek that echoes through the city. The camera captures its distorted, snarling face mid-run, saliva flinging from its jaws. As it closes the distance, the creature's glowing eyes lock onto a human in its path. The ground shakes slightly with each step.
Visual Style
Intense, horror-action blend. Motion blur on limbs to emphasize unnatural speed. Dust kicks up with each step. The creature’s design is insectoid-reptilian hybrid: armored skin, bioluminescent patches, segmented limbs. Backlighting enhances silhouette and glowing eyes.
Camera Technique
Long lens frontal shot of the alien charging → quick intercut close-ups of its legs pounding the ground and distorted screaming face → shaky POV from the human → wide tracking shot as the creature narrows in
Audio Elements
- Shrill, guttural alien screech
- Fast, heavy footsteps with grit and echo
- Wind distortion as it rushes past objects
- Heartbeat or rising tension score in background
- Optional: reverb-heavy, slowed ambient screech trailing the main cry
한글 프롬프트
장면 묘사
안개 자욱한 폐허 속 거리에서 외계 생명체가 갑작스럽게 튀어나온다. 몸은 웅크려져 있고 근육질이며, 날카로운 발톱이 아스팔트를 찍으며 광속으로 질주한다. 괴물의 입은 비정상적으로 크게 벌어지고, 도시 전체에 울려 퍼지는 끔찍한 괴성을 내지른다. 카메라는 전속력으로 달려오는 외계 생물의 일그러진 얼굴을 포착하며, 턱에서 침이 튀고, 눈에서는 광채가 번뜬다. 생명체가 다가올수록 땅은 가볍게 진동하고, 카메라에는 인간의 공포에 질린 시점이 교차된다.
시각적 스타일
공포 + 액션 스타일. 빠르게 움직이는 팔다리에는 모션 블러 처리, 발걸음마다 흙먼지가 일며 생동감 극대화. 외형은 곤충과 파충류의 혼합체로, 단단한 외피와 빛나는 발광 부위, 분절된 관절이 특징. 역광으로 실루엣과 눈빛 강조.
카메라 기법
전방 롱렌즈 샷으로 질주하는 외계 생명체 포착 → 발걸음 클로즈업과 얼굴 일그러짐 교차 컷 → 인간 시점의 흔들리는 POV 샷 → 와이드 트래킹 샷으로 거리 좁혀오는 장면
오디오 요소
- 외계 생명체의 날카롭고 거친 괴성
- 빠르고 무거운 발소리, 자갈 튀는 소리 포함
- 공기를 가르며 물체를 지나치는 바람 소리
- 점점 빨라지는 심장박동 소리 또는 긴장감 있는 배경음
- 선택 사항: 괴성 뒤에 길게 남는 잔향 처리된 외계음
영어 프롬프트
Scene Description
In a vast, high-ceilinged military hangar emblazoned with Korean flags and “대한민국 육군” (Republic of Korea Army) markings, rows of towering combat mechs stand on powered platforms. Their armor glistens under overhead industrial lights, with hydraulic joints and energy cores gently pulsing. Technicians move briskly around them, running last-minute checks. Red status lights blink on control consoles. Outside the hangar’s open doors, the distant sound of sirens and jet engines fills the air. These machines—part of Korea’s last line of defense—are moments away from launch.
Visual Style
Futuristic military-industrial aesthetic. Metallic greys, military greens, and flashes of red LED indicators. Korean language markings, flags, and emblems visibly present. The mechs are bulky yet agile-looking, with glowing Korean characters or unit insignias painted on their hulls.
Camera Technique
Wide panning shot across the hangar from above → medium shots of each mech being prepped → low-angle hero shots emphasizing the mechs’ height → optional pull-back shot to show hangar doors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Audio Elements
- Hissing hydraulics and mech servos adjusting
- Radio chatter in Korean
- Footsteps, tool clanks from crew
- Distant warning sirens, jet flybys
- Optional: rising score with military drums or synthetic pulses
한글 프롬프트
장면 묘사
천장이 높고 넓은 한국 군부대 격납고 내부. 벽면과 바닥에는 ‘대한민국 육군’ 마크와 태극기가 걸려 있다. 그 안에는 수십 미터 크기의 전투 로봇들이 출격 대기 상태로 정렬되어 서 있다. 갑주는 메탈릭한 질감으로 빛나고, 관절과 동력 코어에서는 미세한 진동과 빛이 흐른다. 정비병들이 로봇 주변을 바삐 오가며 최종 점검 중이고, 제어 패널에서는 붉은 상태등이 깜빡인다. 격납고 문 너머로는 사이렌 소리와 전투기 소음이 아득하게 들려온다. 이 로봇들은 국가 최후의 방어선이며, 곧 출격을 앞두고 있다.
시각적 스타일
미래형 군사·공업적 분위기. 회색 메탈, 군녹색, 빨간 경고등이 주요 색상. 기체에는 ‘대한민국 육군’, ‘제6기갑전대’ 등 한국어 마킹과 부대 엠블럼이 선명히 인쇄되어 있다. 기체는 육중하지만 민첩한 디자인, 코어 부분에서 에너지가 맥동.
카메라 기법
상단에서 격납고 전체를 팬(pan)하는 와이드샷 → 각 로봇의 정비 장면을 중간 거리 컷 → 아래에서 올려다보는 로우 앵글 히어로 샷 → 선택 사항: 격납고 문이 열리며 외부 전장 조망하는 풀백 샷
오디오 요소
- 유압 장치 작동음, 로봇 관절 소리
- 정비병들의 무전 교신 (한국어)
- 금속 부딪히는 소리, 바닥을 걷는 부츠 소리
- 멀리서 들리는 사이렌과 전투기 비행음
- 선택 사항: 타악기와 전자음 혼합된 긴장감 넘치는 배경음
댓글